2025년 5월 17일 오전, 광주 광산구 송정동에 위치한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타이어 생산에 필수적인 생고무와 화학 약품들이 불길에 휘말리며 화재는 순식간에 확산됐고, 건물 붕괴와 함께 인근 주민까지 영향을 받는 심각한 사고로 번졌습니다.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개요
화재는 오전 7시 11분경, 정련 공정에 쓰이는 전기 오븐 장치에서 발생한 스파크가 인근 가연성 물질로 옮겨붙으면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장치는 생고무를 화학약품과 혼합하기 전에 고열로 예열하는 설비로, 평소에도 높은 온도를 유지합니다.
정련 공정은 타이어 제조의 핵심 단계로, 고무 특유의 탄성 및 강도를 확보하는 중요한 작업입니다. 이 과정에서의 사고는 대규모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 대형 화재 원인과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꼭 읽어야 할 관련 사례가 있습니다.
화재 피해 상황 및 진화 대응
화재는 건물 일부를 붕괴시켰으며, 구조가 샌드위치 패널로 되어 있어 외부에서 물을 뿌려도 진화가 어려운 구조입니다. 내부 잔존 열과 연소 중인 물질로 인해 진화에는 며칠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현장에는 생고무 20톤 이상이 보관되어 있었고, 불길은 고무 연소 특성상 검은 연기와 유독 가스를 다량 발생시키며 인근 지역까지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 인명 피해: 공장 관계자 1명(다리 골절), 소방대원 2명(1도·2도 화상)
- 생산 중단: 광주공장 가동 중단, 일부 생산은 곡성공장으로 이전 예정
- 진화 지원: 국가소방동원령 발령, 전국 소방인력 355명 및 장비 100여대 투입
📌 실시간 뉴스 확인과 함께 산업 현장의 안전 이슈에 더 민감해지셔야 합니다!
정련 공정의 위험성과 산업 현장 안전 문제
정련 공정은 단순한 고무 가열이 아닌, 열과 압력을 반복적으로 가해 물성을 강화하는 복합 작업입니다. 특히 고무 자체의 인화성이 높고, 사용하는 약품들도 유기 용제가 많아 화재에 매우 취약합니다.
이번 사고는 공정 내 전기장비의 미세한 스파크 하나가 대규모 화재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산업현장의 점검, 정비 시스템과 함께, 고온·고압 환경에서의 스파크 차단 안전 설계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됩니다.
광주공장 화재 이후 대응 방향
금호타이어 측은 화재 직후 광주공장의 모든 생산을 중단하고, 일부 라인을 곡성공장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복구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며, 국내 타이어 공급망에도 일시적인 차질이 우려됩니다.
정부는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동해 광주뿐 아니라 대구, 전북, 충남, 전남, 경남 등에서 추가 지원을 받고 있으며, 유해물질 확산을 막기 위한 환경 당국의 대응도 병행되고 있습니다.
🚨 산업 현장에서의 안전을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합니다. 관련 사례를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