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5월, 5·18기념재단은 5·18민주화운동 45주년을 맞아 4가지 기획 방향과 총 38개 주요행사를 발표했습니다. 본 글에서는 광주 현장 참여 전 반드시 알아야 할 공식 기획 방향과 핵심 프로그램을 한눈에 정리합니다.
✔️ 행사 일정 외에도 ‘재단의 기획 의도’와 ‘시민 참여형 프로젝트’를 알고 싶다면 지금 확인하세요.
5·18기념재단의 4대 기획 방향
- 45주년 손님맞이: 방문자 맞이 환경 조성, 해설사 운영, 안내 시스템 구축
- 5·18 역사공간 활성화: 역사 현장을 문화예술 공간으로 재해석
- 민주유공자 예우 문화 확산: 유공자의 품위와 존엄성 회복
- 비경험세대의 주체화: 청년, 외국인 유학생 등 차세대 주도 프로그램 확대
핵심 사업 1. 5·18 손님맞이 프로그램
- 전문 해설사 30명 양성, ‘오월길 해설 예약 시스템’ 운영
- 사적지 통합 안내 웹사이트 → www.518edu.co.kr
- 금남로 오월길 방문자 센터 운영 (5·18기록관 1층)
- 전일빌딩245 1층 안내소 설치 (5월 17~18일)
- ‘오월 텐트촌’ 5월 17일 1박 행사 (중앙초, 518people.org)
📍 광주 방문 전 ‘오월길 예약’ 또는 안내센터 위치를 꼭 확인하세요.
핵심 사업 2. 역사공간 문화행사
- 5·18자유공원: 4~6월 복합 문화행사 + 민주유공자 전시
- 옛 505보안부대: 연극 '콘크리트 보이스 2' (5/15, 18, 19, 24, 31)
- 랜선 교육: 그림책 기반 사적지 소개 콘텐츠 운영
핵심 사업 3. 민주유공자 예우 문화
- ‘5·18 민주유공자 기림의 날’ 행사 진행
- ‘오월의 꽃이 피었습니다’ 추모 헌화 프로그램 (학생+유공자 참여)
핵심 사업 4. 비경험세대 중심 기획
- 5·18청년활동가 MAYZ, 5·18시민서포터즈 MAYT 운영
- 청년 교사/유학생 5·18 연수, 아카데미 네트워크
- 5·18 신진연구자 워크숍 및 청년민주포럼
📚 5·18을 함께 기록하고 싶은 청년이라면, MAYZ나 아카데미 프로그램에 주목하세요!
요약 정리
- 재단은 ‘기억과 참여, 세대 연대’를 테마로 38개 사업 기획
- 해설사 예약 시스템, 텐트촌, 전시 등 체험형 프로그램 다수
- 청년·시민 참여를 중심으로 세대통합형 행사 구성
- 공식 사이트와 안내소에서 상세 정보 제공 중
👉 1편에서 전체 5·18 기념행사 일정과 참여법을 정리했습니다.
반응형